윈도우10 디펜더 끄는 방법
요즘 바이러스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졌습니다. 왜냐하면 랜섬웨어 바이러스 한번 걸리면 모든 자료가 날라가기 때문이죠 그래서 어떤 상황이 닥칠지 모르기 때문에 항상 조심하는게 중요한데요 우리가 보통은 윈도우7과 윈도우10을 설치를 합니다.
그런데 윈도우10을 설치하면 자동으로 설치가 되서 여러가지로 좋긴 한데요 백신프로그램도 윈도우 디펜더가 설치되서 실시간으로 감시가 됩니다. 그런데 이것 하나로는 불안하니까 보통 알약이나 네이버백신 프로그램등 이런것을 추가로 설치해놓기도 해요
그런데 윈도우10 디펜더 같은경우는 하도 보안이 철저하다 보니 일반 응용프로그램을 컴퓨터에 복사를 하는데도 종종 바이러스 프로그램이라 인식하고 차단을 하는 경우가 있어요 그래서 때로는 물론 철저하게 보안을 해주는것은 좋긴하지만 가끔씩은 디펜더 기능을 차단할 필요가 있는것 같아요
물론 보통 평상시에는 윈도우10 디펜더를 켜놓습니다. 하지만 지금처럼 혹시나 다른 프로그램이나 이런것을 카피하거나 응용프로그램을 실행할경우 종종 에러가 나거나 할때는 디펜더 기능을 꺼놓는게 좋죠
다음과 같이 일단 윈도우 설정에 들어갑니다.
그러면 아래에 업데이트 및 보안을 눌러주세요
여기보면 윈도우스 보안이라는 메뉴를 눌러주세요 그러면 아래와같은 바이러스 백신에 관한 메뉴가 나옵니다.
위에보면 바이러스및 위협방지가 있는데요 여기에서 디펜더 온 오프를 모두 가능하게 설정할수 있음을 알수 있습니다.
여기서 windows defender 바이러스 백신 옵션이라고 메뉴가 있는데요 이것을 주기적 검사를 끔으로 하면 off 가 되는것이죠 이것음 켬으로 하면 on 이 되니까요 내가 파일을 복사하는 상황에 따라서 이것을 조정해주면 될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