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업급여 모의계산 하기
요즘들어 취업하기 힘든것도 사실입니다. 원래 기존에 다니던 직장도 언제까지 계속 다닐지 아무도 알수 없고요 여러가지 힘든점을 알수 있습니다. 그래도 무작정 그만두기 보다는 이직할곳을 정하고 그만두는게 좋겠죠
요즘은 제조업이 더 힘들어서 30대-40대 실업률이 높아지고 있음을 알수 있습니다. 그래서 실업급여를 받으려고 하면 여러가지 조건이 충족되야 하는데요 그중에 하나는 자발적 퇴사는 안된다는 것이죠
여러가지 회사 사정에 의해서 권고사직이나 아니면 명예퇴직 회사의 여러가지 사정으로 인한 회사가 폐업을 한다든가 지방으로 발령이 난다든가 여러가지 원치 않는 환경의 변화로 사직을 할경우 회사에서는 이직확인서를 전산상으로 처리를 해줌으로 실업급여를 받게 됩니다.
그래서 올해부터는 최소 내가 회사에서 6개월 이상 일했다고 하면 그 이후로 4개월정도 최점임금정도로 해서 매월 받을수 있는 것을 알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전 회사에서 일한 년수에 따라서 개월이 더 늘어나기도 합니다.
아무튼 근로자 입장에서는 회사를 그만두엇다면 최소한 실업급여라도 받고 그만둬야 좀더 안정적으로 이직할때 도움이 되니까요 비자발적 퇴사가 굉장히 중요하죠 그리고 취업하겟다는 의지가 있어야 하는 것도 사실입니다.
그렇다면 내가 퇴직을하게되고 실업급여를 받을때 어느정도 받는지 한번 계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위와같이 실업급여 모의계산 사이트가 잇는데요 한번 알아보도록 할께요
내 나이와 그리고 주민번호 그리고 고용보험 총 가입기간등을 입력하면 바로 나옵니다.
그외에 1일 구직급여 수급액과 최저임금액등을 확인하고 2018.1월 이후에는 60000원임을 알수 있는데요 정확한 내 실업급여는 한번 계산을 해봐야 알수 잇지 않을까 생각이 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