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법적야간수당 계산 하기

by 오땡큐 2020. 1. 13.

 

 

 

법적야간수당 계산 하기

회사에서 일하다 보면 나도 모르게 시간이 초과되는게 있죠 정말 일을 잘하는 사람은 자신의 정해진 일과시간에 맞춰서 일을 끝내는게 제일 좋죠 하지만 이게 어디 내마음데로 되나요 그렇게 모든일이 내가 원하는데로 술술 풀리면 금상첨화죠

 

 

 

 

하지만 모든일은 순리가 잇죠 지금 당장은 잘 되는것 처럼 보이지만 이상하게 일이 꼬이기도 합니다. 여러가지 원인에 의해서요 내능력이 부족해서 내가 실수해서 일을 잘못 처리하는 경우도 있고요 아니면 거래처 다른사람과 같이 일하다 보니 힘들수도 있어요

 

 

 

 

아니면 공공기관이나 공무원등의 허가나 아니면 여러가지 서류들을 검토하면서 미비상황이나 내가 하는 업무에 따라서 여러가지 일이 나뉘는것을 알수 있습니다. 그래서 야근을 좋아하는 사람이 없겠죠

 

 

그나마 대기업이나 아니면 공무원들은 만약 내가 야간에 근무하면 수당이 나오니까 더욱 열심히 일하긴 하는데요 그외에 일반 중소기업은 솔직히 월급도 빠듯한데 일이 많아서 더 남아서 한다고 해서 열정페이라고 하죠

 

 

누군가 알아주는 사람이 있긴 하지만 저녁이나 사주면 다행이죠 야근수당은 정말 받는것조차 미안할 지경이죠 그렇다면 정말 법적 야간수당은 어떻게 계산을 해야 할까요 일단 법적으로 야간근로시간은 5인 이상 사업장에서만 적용이 된다고 하네요

 

 

5인이하는 아예 적용도 안되네요 그리고 밤 10시 이후부터 그다음날 오전 6시까지 적용이 된다고 합니다. 휴일에 나와서 일하는 것도 포함이 되고요 그래서 시간당 시급으로 했을때 1.5를 곱하면 됩다고 합니다. 현재 시급이 8600원정도니까 야간에 근무하면 여기에 1.5를 곱한 금액이 시간당 자기 야간수당이라고 할수 잇겟네요

 

 

일일히 내가 야간에 일한 수당 다 챙겨먹기는 약간 그래도 원래 법적으로는 그게 맞다고 하니까요 혹시나 모르니까 알아두시면 좋겟네요

 

 

 

일단 야간수당계산기를 통해서 알아봤어요

 

8590원을 시급으로 하고 야간에 한시간정도 근무햇더니요

 

 

12,885원이 나오는 것을 알수 잇습니다.

 

 

위와같이 근로기준법에 근거해서 계산되는 거니까요 참고하셔서 계산하시면 되겟네요